안녕하세요. 행아아빠 입니다.
노트북 구매 하실때 윈도우가 포함된 제품으로 구매 하신다면 신경쓰지 않아도 되겠지만, 보통은 노트북을 구매할때 설치되는 윈도우 시디키 넘버는 DSP 또는 OEM일 경우가 대부분 이기 때문에, 노트북을 바꾸거나, 다른 메인보드의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설치하고자 할때에는 또 다시 윈도우10 정품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윈도우10 FPP버전으로 구매를 하고, 프리도스 노트북으로 구매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윈도우를 설치 하는 방법을 모른다면 컴퓨터를 바꿔서 구매할때마다 윈도우 구매를 해야 하는 비용이 지출 되겠죠.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10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윈도우10 종류 (FPP, DSP, ESD, OEM)
윈도우를 구매하고 할때 윈도우10 FPP, 윈도우10 DSP, 윈도우10 ESD, 윈도우10 OEM 버전별로 구분되어 있어서 무엇을 구매 할지 고민이 되곤 합니다. 따라서 각각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10 FPP는 Full Package Product의 약자로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설치 할 수 있는 USB와 라이센스키가 동봉되어 있는 패키지 형태로 판매 되는 것을 말하며, PC의 하드웨어가 변경되거나 메인보드가 바뀌더라도 재설치가 가능하며, 다른 PC로 이동이 가능 합니다. 즉, 라이센스를 PC를 이동하면서 정품 인증은 가능 하지만 인증 받을 수 있는 PC는 1대 뿐 이라는 것 입니다.
윈도우10 ESD는 윈도우10 운영체제가 들어 있는 USB가 없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해 디지털 라이센스키만 전달 받는 형태로 저렴하게 윈도우10 라이센스를 구매 할 수 있겠습니다.
윈도우10 OEM은 개인이 구매할수 없고, 기업에서 대량으로 라이센스를 구매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보통은 PC판매사 또는 대기업의 제품에 윈도우10이 설치 되는 제품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윈도우10 DSP 버전은 메인보드에 라이센스가 귀속 되는 형태로 메인보드가 변경되거나 PC가 변경된다면 라이센스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원하는 형태의 윈도우10을 구매 하면 되겠지만, 윈도우10을 처음 구매 한다면 FPP버전으로 구매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윈도우10 설치 방법.
윈도우10 설치 방법으로는 윈도우10 FPP를 구매 하셨다면 동봉되어 있는 USB로 설치를 하면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윈도우10을 USB에 다운로드 해서 설치 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윈도우10을 USB에 다운로드 한다면 USB용량은 반듯이 8GB이상 이여야 하니 참고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다운로드 경로는 인터넷 검색창에 "마이크로소프트 공식홈페이지"라고 검색한 후,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 내 검색창에 "윈도우10"이라고 검색해 주면 "Windows 10 다운로드"라는 URL이 제일 먼저 뜰텐데 해당 URL을 클릭하고,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클릭해서 준비해둔 USB에 다운로드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윈도우10 FPP버전에 동봉된 USB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은 USB 둘 중 하나가 준비 되었다면 윈도우10 설치 준비가 완료 된 것 입니다.
윈도우10을 설치 하기 전에 꼭 숙지 하셔야 하는 것은 윈도우10 설치는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진행을 해야 하니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인터넷을 모두 해제 해 준 상태로 진행을 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우선 윈도우10을 설치할 PC의 전원을 켜 주고 BIOS모드로 들어가서 부팅을 USB로 변경해 주셔야 하는데 BIOS모드로 들어가는 방법은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자신의 PC의 BIOS모드 들어가는 방법을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저는 Asus ROG 제피러스 G14 GA401 모델로 USB를 꽃은 상태에서 부팅시 ESC키를 연속으로 눌러주면 어떤 형태로 부팅을 할지 선택 할 수 있는 메시지가 나와서 윈도우10 설치 USB를 선택하고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보통은 PC 전원을 켜자마자 ESC, F12, DELL키를 연속으로 눌러주게 되면 BIOS모드로 들어 갈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로 부팅을 했다면 64bit, 32bit로 설치 할지 선택해 주시면 되겠는데, PC가 아주 오래 되지 않았다면 64bit로 설치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64bit로 선택하고 조금 기다리다 보면 설치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언어, 시간 및 통화, 키보드 또는 입력방법, 키보드 종류등의 선택창이 나오게 되는데 보통은 변경사항 없이 기본 설정 그대로 다음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그 다음은 "지금 설치"를 클릭해서 설치가 진행 될 수 있도록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 해서 다음으로 넘어가도 되지만, 지금 당장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설치가 안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두 설치를 마치고 나서 라이센스 키를 입력 할 것 이라면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지 않도 다음을 클릭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 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왠만하면 라이센스 키는 윈도우10 설치와 각종 드라이버 설치까지 모두 끝날때까지 인터넷은 연결 하지 마시길 바라겠습니다.
다음은 사용권 계약서를 확인 후 동의함에 체크 하고 다음을 클릭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설치 유형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게 되면 "사용자 지정 : Windows만 설치"를 선택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다음화면에서는 기존 윈도우를 제거 하거나 하드디스크를 정리 하기 위해서 모든 드라이브를 삭제 후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거나, 하드디스크를 분할 할 거라면 파티션을 나누어 주고 다음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니다.
단, 파티션 나누기는 윈도우10을 모두 설치 하고 난 후에도 할 수 있기 때문에 꼭 해당 화면에서 파티션 나누기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나의 드라이브로 만든 후 다음을 클릭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주셔도 되겠습니다.
윈도우 10 설치에 필요한 파일을 복사하고, 설치 하는 작업이 진행 되는것을 기다려 주시면 되겠는데, PC사양에 따라 소요시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몇분 정도면 끝나니 기다려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설치가 끝났다면 이제 윈도우 설치용 USB는 제거를 해 주시고, 만약 부팅이 안된다면 부팅 방법을 BIOS모드에서 부팅 방법을 USB에서 하드디스크로 변경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재부팅이 되고 나서 설치가 되는 과정이 진행되는동안 조금 더 기다려 주시면 되겠습니다.
설치 라이센스 또는 제품키 입력 화면이 다시 나오게 된다면 라이센스 키를 입력해도 되겠지만, 윈도우10 설치가 모두 끝난 후에 라이센스 인증을 받을 수 있으니 우선은 입력하지 않고 다음을 클릭해서 넘어가 주셔도 되겠습니다.
윈도우 관련 설정은 수동으로 설정 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설정 사용"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추 후 설치가 완료 된 후에도 설정은 변경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으로 PC소유권자를 묻는 선택 화면에서는 "내가 소유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해 주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기본 계정 설정" 단계에서는 Mricrosoft 계정을 굳이 입력하지 않고 건너뛰기를 선택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 가주셔도 윈도우 10 설치에 무방하기 때문에 건너뛰기 하여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내 PC용 계정 만들기 단계 에서는 사용자 이름은 반드시 입력해야 하고, 암호는 필요 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하지 않고 다음을 클릭해서 넘어가 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윈도우 10 설치가 완료 되었으니 필요한 설정을 완료 해 주시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행아아빠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스타벅스 프리퀀시 아이스박스 서머데이쿨러. (0) | 2021.05.19 |
---|---|
Asus ROG 제피러스(ZEPHYRUS) G14 GA401IU 프리도스(Free DOS) 노트북 드라이버 설치 방법. (0) | 2021.05.18 |
Asus ROG 제피러스 G14 GA401IU 14인치 그래픽작업, 게이밍 노트북 구매 후기 / AMD 라이젠(Ryzen)9 4900HS / GTX1660TI (0) | 2021.05.17 |
2021년 근로장려금 홈텍스 신청 방법. (0) | 2021.04.29 |
[일상 Tip] 이력서 작성시 과거 직장에서의 입사일과 퇴사일이 생각나지 않을때 확인 방법. (0) | 2020.03.30 |
댓글